나만의 무기 조각들 썸네일형 리스트형 [생명과학] 체세포 분열 세포는 자신의 내용물을 복제하고 나누면서 분열한다. 체세포 분열은 유전 물질을 증폭하고 분배한 뒤 세포질이 분열되는 단계를 거친다.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의 체세포 분열을 차례로 알아보자. 1. 원핵생물 원핵생물은 대부분 이분법으로 분열한다. 이분법은 세포가 같은 크기로 분열하면서 두 세포가 되는 것이다. 그 외에도 몸의 일부분이 돌기로 나와 분열하는 출아법, 몸의 일부가 쪼개져 나오는 분절법 등이 있다. (1) 유전물질 증폭 원핵생물은 한 개의 원형 DNA를 가진다. DNA의 복제원점에서 복제가 개시된 후 반대편의 종결자에서 끝난다. (2) 유전물질 분배 복제된 두 개의 DNA의 복제원점이 각각 MreB 단백질에 결합해 에너지를 소모하면서 각각 반대쪽 끝으로 끌려가 분리된다. 여기서 MreB는 유전물질 분.. 더보기 [생명과학] 진핵생물의 구조 2편 1. 올레오솜 올레오솜은 식물 종자의 발생에서 중성지방을 저장하는 소기관이다. 종자가 발아할 경우 저장했던 지방산을 글리옥시좀으로 옮긴 후 당으로 전환해 사용한다. 2. 퍼옥시좀 퍼옥시좀은 카탈라아제(Catalase)를 지니고 있는데 카탈라아제는 퍼옥시좀이 지방산 베타 산화를 할 때 생성되는 활성산소를 해독하는 역할을 한다. 그 외에도 메탄올, 포름산, 에탄올, 포름알데히드, 페놀, 아질산 등 다양한 독성 물질을 해독한다. 대부분의 퍼옥시좀은 기존에 있던 것이 분열해서 새로 생기며 일부는 조면소포체에서 새롭게 생기기도 한다. 3. 미토콘드리아 미토콘드리아는 진핵세포가 삼킨 호기성 세균이 소기관이 된 것으로 원핵생물과의 내부 공생 증거가 된다. 이 곳에서 세포호흡이 일어나 산화적 인산화로 ATP가 합성된다.. 더보기 [생명과학] 진핵생물의 구조 1편 1. 핵(Nucleus) 핵에는 DNA가 존재하며 이곳에서 유전자들이 전사된다. 그리고 리보솜이 조립되는 곳이기도 하다. (1) 핵질(Nucleoplasm) 핵질은 핵 내를 채우고 있는 반유동성 물질이다. 핵질의 대부분은 염색질(Chromatin)에 해당되며 유전 정보들이 히스톤 단백질에 감겨있는 여러 개의 선형 DNA들에 나누어 존재하고 있다. (2) 인(Nucleolus) 인은 과립 형태로 한 개 이상 존재한다. rRNA 유전자 서열들이 모여있기 때문에 전사가 활발히 일어나며 전사된 rRNA는 인에서 리보솜을 구성하는 소단위체 40S와 대단위체 60S로 조립된다. 인은 간기의 핵에서만 관찰할 수 있고 세포 분열기(M기)에는 사라진다. (3) 핵막 핵막은 인지질 이중층의 이중막 구조로 되어있다. 핵막에.. 더보기 [생명과학] 원핵생물의 구조 원핵생물은 모양에 따라서 분류가 가능하다. 둥근 모양의 구균(Coccus), 막대 모양의 간균(Bacillus), 나선 모양의 나선균(Spirillum), 쉼표 모양의 콤마형균(Vibrio) 등이 있다. 원핵생물이 어떤 소기관들로 이루어졌는지 알아보자. 1. 세포막 (1) 진정세균 진정세균의 세포막은 글리세롤과 지방산의 에스테르 결합으로 형성된 인지질과 호파노이드로 이루어져 있다. 드물게 호파노이드 대신 스테롤이 관찰되기도 한다. 홍세균이나 남세균의 경우 광합성이 잘 되기 위해 세포막의 일부가 내부로 접혀 들어가있기도 하다. (2) 고세균 고세균의 세포막은 글리세롤과 가지 친 지방산이 에테르 결합으로 형성된 인지질로 이루어져있다. 인지질이 이중층 혹은 단일층 구조를 나타낸다. 2. DNA 원핵생물은 핵이.. 더보기 [생명과학] 세포의 연구 방법 눈에 보이지 않는 세포를 연구하는 방법엔 여러 가지가 있다. 1. 현미경 현미경은 눈으로 보기 어려운 작은 물체를 확대하는 장치다. 현미경의 배율과 분해능에 따라 성능이 다르며 굴절률과 빛이 집광되는 각도가 클수록, 파장은 작을수록 사물 관찰에 유리한 현미경이다. (1) 광학 현미경 1) 일반 광학 현미경 광원에서 나오는 빛을 거울로 모은 후 시료에 조사하면 대물렌즈와 접안렌즈를 통과하면서 상이 확대된다. 일반 광학 현미경은 가시광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시료를 천연색으로 볼 수 있다. 세포는 투명하기 때문에 소기관을 관찰할 때마다 염색약으로 염색을 해야 한다. 그리고 평면적인 시료만 관찰할 수 있다. 2) 위상차 현미경 염색을 하면 세포가 죽기 때문에 염색하지 않고 살아있는 세포의 동적인 과정을 관찰할 때.. 더보기 [생명과학] 물질 수송의 메커니즘 물질은 세포막 안팎으로 어떻게 수송될까? 내부가 소수성인 세포막을 어떻게 통과하는지는 물질의 특성에 따라 다르다. 1. 지질을 통한 수송 (1) 단순 확산(simple diffusion) 원자, 분자, 이온 등의 물질이 지질막을 통해 에너지 소모 없이 고농도에서 저농도로 농도 기울기에 따라 이동하는 현상이다. 물질의 이동은 막을 기준으로 양쪽이 동적 평형에 도달할 때까지 이루어진다. 생체 내에서 이산화탄소나, 산소 등 가스가 교환될 때 단순 확산 현상이 나타난다. (2) 삼투 현상(Osmosis) 극성의 분자가 지질막을 통과하지 못해 생성된 농도 기울기에 따라 용매(물)가 반대로 저농도에서 고농도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1) 동물세포 고장액: 동물세포를 고장액에 넣으면 동물세포 내의 물이 바깥으로 빠져나가.. 더보기 [생명과학] 세포막의 구조 세포막은 세포 내부가 세포 밖의 환경과 다른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획화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반투과막이기 때문에 막을 통과할 수 있는 물질들이 있어 활발한 물질 교환 또한 일어난다. 이러한 세포막을 처음 발견하게 된 실험들에 대해 알아보자. 1. 실험적 확인 (1) 유동 모자이크 모델 싱어와 니콜슨은 세포를 빠르게 얼린 후 충격을 가해 세포막이 불규칙하게 깨지도록 하는 동결 단절법을 사용해 세포막의 소수성 부분에도 단백질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세포막은 비대칭의 이중층 구조로 내재성 단백질은 막 사이에 끼어있고 표재성 단백질은 막의 표면에 결합해 있다. 그리고 지질과 단백질은 유동 상태라서 막을 이동할 수 있을 것이라는 사실은 이후에 밝혀지게 된다. (2) 막 단백질의 유동성 확인 생쥐 .. 더보기 [생명과학] 단백질 분석: 크로마토그래피, 등전점 전기영동, SDS-PAGE 효소를 연구하는 생화학적 접근 방법은 단백질들을 정제하고 이들의 특성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생체 주요 구성 물질인 단백질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더 나아가 다양한 생명 현상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크로마토그래피 크로마토그래피는 샘플을 이동상에 녹인 뒤 고정상 위로 흘렸을 때 고정상과 상호 작용하는 정도의 차이로 인해 각 성분 물질들이 분리되도록 하는 실험 방법이다. 1.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Layer Chromatography, TLC) (1) 적은 양의 샘플을 고정상 위의 한쪽 끝에 점으로 찍어준다. (2) 용기 속의 이동상에 고정상을 살짝 담가준다. (3) 모세관 현상에 의해 이동상이 고정상을 따라 올라간다. 이때 샘플의 성분들이 이동상과의 상호 작용 차이에 따라 분리되면서 이.. 더보기 이전 1 2 3 4 5 다음 목록 더보기